사슬채비 오내리기법 튜닝한 사슬채비 쉽게 하기
사슬 채비는 찌의 부력을 본 봉돌과 연결된 사슬의 침력을 이용하여 상쇄시키는 채비 방법입니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사슬 채비의 경우 편납 홀더 밑에 사슬이 연결된 형태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편납 홀더에서 사슬을 분리한 후 핀도래를 넣고 사슬을 걸고 사슬 끝에 핀도래를 연결시켜 튜닝을 합니다.
공구 없이 뺀치만으로 튜닝하는 방법입니다.
강선과 9자말이를 이용해 편납 홀더를 빼고 편납을 두 겹으로 감을 수 있게 만들고 사슬 끝에도 파워 스프릿 링을
이용하여 핀도래를 넣어 튜닝한 방법입니다.
튜닝을 하는 이유는 목줄의 길이를 편하게 조정하기 위해 넣어다가 뺏다가 쉽도록 만든 것이며 핀도래
두 개만큼 길이가 늘어나는 효과를 보기 위해서 튜닝을 합니다.
사슬 채비의 채비 법
대상어종과 낚시하는 장소에 따라 원줄의 호수를 결정하여 낚싯대에 결착을 해줍니다.
멈춤 고무 두 개를 넣고 유동찌고무를 넣고 다시 멈춤고무를 두개 넣어줍니다.
핀도래를 결착한 후 사슬 채비를 걸어줍니다.
바늘을 결착(사슬 끝 결착 목줄 5~7cm 가지바늘 사용 시 사슬 보다 5cm 정도 길게) 하여 낚시를 시작합니다.
사슬 채비의 찌맞춤:카본라인과 나일론라인으로 나뉩니다.
사슬채비 카본 라인의 찌맞춤
편납 홀더에 찌의 부력보다 무겁게 편납을 감아줍니다.
바늘을 제외한 모든 채비를 연결해줍니다.
채비를 투척해서 찌탑 3~4마디가 나오게 수심을 찾아줍니다.
가장 위에 있는 멈춤 고무 한 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멈춤 고무를 사슬 쪽으로 찌 길이만큼 내립니다.
캐미의 절반이 보이도록 편납을 잘라줍니다.
가장 위에 있는 멈춤 고무까지 찌를 올리고 조금씩 조정하여 1목이나 2목이 나오도록 하고 원하는 사슬 채비의
방식에 따라 바늘을 달고 낚시를 시작합니다.
사슬채비 나일론 라인의 찌맞춤
편납 홀더에 찌의 부력보다 무겁게 편납을 감아줍니다.
바늘을 제외한 모든 채비를 연결해줍니다.
채비를 투척해서 찌탑 3~4마디가 나오게 수심을 찾아줍니다.
가장 위에 있는 멈춤 고무 한 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멈춤 고무를 사슬 쪽으로 찌 길이만큼 내립니다.
캐미 꽃이 끝이 보일 때까지 편납을 잘라줍니다.
가장 위에 있는 멈춤 고무까지 찌를 올리고 조금씩 조정하여 1목이나 2목이 나오도록 하고 원하는 사슬 채비의
방식에 따라 바늘을 달고 낚시를 시작합니다.
찌맞춤이 약간은 무거워도 사슬이 하나 접히는 정도로 예민함은 여전히 유지됩니다.
찌가 흐른다거나 입질이 경망스럽게 나오면 오링을 하나 끼워서 잡아줍니다.
야간 캐미로 교환 시에도 굳이 오링을 더 넣어줄 필요는 없습니다.
사슬 채비의 사용의 장점
찌맞춤이 약간은 무거워도 사슬이 한 두 개 눕게 되는 형태로 여전히 예민한 채비로 있습니다.
빨리는 입질이던 올리는 입질이던 입질 표현이 확실한 편입니다.
가지바늘을 사용하여 오내리 기법으로 응용할 수 있습니다.
풀 스윙으로 투척해도 수직 입수에 가깝게 되므로 초보분들도 투척의 부담이 적습니다.
사슬 채비 사용의 단점
사슬 하나하나가 나눔 봉돌의 역할을 하므로 물 흐름이나 대류에 취약하여 강이나 수로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찌의 관성에 영향을 많이 받아 빠르게 솟구치는 입질이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사슬에 바늘이 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사슬 채비는 아래에 외바늘, 쌍바늘을 달아 낚시하는 방법, 아래에 외바늘, 편납 홀더에 가지바늘을 달아
사용하는 방법, 가지바늘만 달아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찌맞춤을 엉망으로 하면 안 되겠지만현재 사용되는 채비 중에는 찌맞춤에서 가장 자유로운 채비라고 판단됩니다.
노지 낚시보다는 손맛터, 관리형 저수지에서 최적화된 채비가 아닌가 싶습니다.
'낚시 > 낚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벨(분할봉돌)채비 예민한 입질 시원한 찌올림 (0) | 2021.04.24 |
---|---|
기본적인 채비 외봉돌 채비 채비법과 찌맞춤 (0) | 2021.04.22 |
외통 채비의 찌맞춤 채비 목줄 싱커 외통 채비의 찌맞춤과 채비법 (0) | 2021.04.19 |
중통채비 이해하고 쉽게 사용하는 방법 (0) | 2021.04.18 |
떡밥의 종류와 배합방법 생미끼 (0) | 2021.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