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과 의원의 차이와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는 무엇일까?
병원과 의원의 차이
우리는 몸이 아플 때 의료 기관을 찾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의료 기관은 진료와 치료를 목적으로 개원한 병원과 의원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병원과 의원은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을까요?
병원과 의원은 전문의와 일반의가 개원한 의료 기관 중 입원 치료가 가능한 병상의 수로 나뉘게 됩니다.
즉 규모의 차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의원은 입원 치료가 가능한 병상의 수가 30개 미만인 경우입니다.
병원은 입원 치료가 가능한 병상의 수가 30개 이상 100개 미만인 경우입니다.
종합병원은 입원 치료가 가능한 병상의 수가 100개 이상 500개 미만인 경우입니다.
대학병원은 입원 치료가 가능한 병상의 수가 500개 이상인 경우입니다.
의원과 병원은 진료 과목의 조건을 따로 충족시키지 않지만 종합병원과 대학병원은 진료 과목도 충족을 해야만 합니다.
종합병원은 300병상 미만일때는 7과목 300병상 이상일 때는 9과목을 진료해야 자격 조건이 충족됩니다.
대학병원은 20과목 이상을 진료해야만 자격 조건이 충족됩니다.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
일반의는 의사국가고시를 통과하여 의사 면허를 취득하고 개원한 의사로 주로 일차 진료를 담당하는 의사를 말합니다.
전문의는 의사국가고시를 통과하여 의사 면허를 취득한 후 상급병원에서 인턴 과정과 레지던트 과정을 모두 거친 후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자신의 전문과목을 지닌 의사를 말합니다.
일반의는 전문 과목을 지니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개원을 했을때 진료과목이 간판에 타이틀이 될 수 없습니다.
전문의는 자신의 전문 과목을 개원했을 때 간판의 타이틀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의가 개원한 병원의 경우에는 ㅇㅇ의원이라고 병원임을 알리고 진료과목:산부인과 라고 진료 과목을 알립니다.
전문의가 개원한 병원의 경우에는 ㅇㅇ산부인과 의원 이라고 의원 앞에 전문 진료 과목을 넣을 수 있는 것입니다.
간간히 ㅇㅇ산부인과 의원 진료과목:내과,외과 라고 되어 있는 곳도 있는데 이런데는 산부인과 전문의가 내과와 외과의 진료도 같이 본다고 하는 것입니다.
전문의나 일반의 모두 자신의 전문 분야가 있는 것이지 다른 질병을 진료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될 부분은 없다고 합니다.
병원의 간판만 보고도 전문의가 있는 곳인지 일반의가 있는 곳인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가벼운 질병은 근처의 병, 의원을 찾아 진료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에 특히 조심해야 하는 질병 (0) | 2021.11.15 |
---|---|
안구 질환의 종류와 원인 (0) | 2021.10.29 |
손톱이 갈라지는 이유, 손톱이 변하면 건강의 적신호 (0) | 2021.10.17 |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 (0) | 2021.09.25 |
올바른 양치질 방법으로 치아 건강 지키기 (0) | 2021.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