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보호사란 무엇인가?
요양보호사는 2008년에 노인장기요양보호제도가 도입되면서 노인들의 안정적인 치료 및 요양을 위해 요양보호사 제도가 시행됐고 시행 초기에는 누구나 일정한 교육과정과 기간을 이수하면 초기 인력 확보를 위해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었습니다.
요양보호사는 국가 보건의료인 시험원에서 요양보호사 교육 과정을 이수한 사람을 대상으로 발급하는 국가 전문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입니다
현재는 교육기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한 다음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에 합격해야 해당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방법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자격을 갖춰야합니다.
시, 도지사가 지정한 교육기관에서 240시간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은 이론교육 2개월, 시설 교육 1주일, 가정실습 1주일로 나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자격을 갖추면 자격증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뉘는데 필기시험은 만점 35점이고 문항당 1점, 모의고사 2단계 만점 45점이고 문항당 1점의 5지선다형입니다.
2단계 만점 45점 모의고사는 실기 시험을 대체하는 것입니다.
필기시험의 과목은 요양보호 개론, 요양 관련 기초지식, 요양보호 각론, 특수 요양보호 각론으로 나뉩니다.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시험의 시험 문항의 비중은 분야마다 다르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면 큰 어려움 없이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에서 각 60% 이상 점수를 획득하면 요양보호사 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요양보호사의 하는 일과 전망
요양보호사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이나 노인복지시설에서 의사나 간호사의 지시에 따라 대상자를 돌보는 역할을 합니다.
의사나 간호사, 가족으로부터 대상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돌봄 서비스 계획을 수립하고 청결 유지를 유지하고 식사 및 약물 섭취의 보조활동을 하며 배변, 운동, 정서적 지원, 환경관리, 일상생활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65세 인구가 14%가 넘는 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상태이며 꾸준하게 고령자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고령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들을 지원해 줄 요양보호사의 필요성은 점점 높아지는 상황인데 현재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젊은 층의 연령대가 아닌 어느 정도 연령이 있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지금 젊은 층에서는 유망한 직종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필요인력이 증가하는 만큼 매우 유망한 직종이지만 하는 일이 고되어 아직까지는 각광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더운 물 목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0) | 2021.12.01 |
---|---|
당뇨에 좋은 성분, 당뇨에 좋은 음식 (0) | 2021.11.27 |
겨울철 특히 조심해야 하는 증상 수족냉증이 나타나는 질병 (0) | 2021.11.24 |
겨울철에 특히 조심해야 하는 질병 (0) | 2021.11.15 |
안구 질환의 종류와 원인 (0) | 2021.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