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69 1년의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 하지 1년의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 하지 하지는 망종과 소서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열 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90도이며 망종으로부터 15일이 지난 후로 6월 19일~23일 사이에 있는 날로 태양이 가장 북쪽인 하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로 지표면에 태양빛이 가장 많이 닿기 때문에 이때부터 기온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합니다 하지의 유래 하지는 여름의 절정이라는 말에서 유래가 된것입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이 기재된 후 여러 역사서에 기록되어 전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초 이순지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 등 여러 문헌에 인용되어 있습니다. 중국 문헌에 나오는 절기는 주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으로 우리나라의 기후와 차이.. 2021. 12. 27. 1년의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 망종 1년의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 망종 망종은 소만와 하지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아홉 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75도이며 소만으로부터 15일이 지난 후로 6월 4일~8일 사이에 있는 날로 밭보리의 수확을 모두 끝내고 논에 늦은 모내기까지 하는 시기라 농사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가장 바쁜 시기입니다. 망종의 유래 망종은 논보리나 벼 등의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을 파종하는 시기라는 말에서 유래가 된것입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이 기재된 후 여러 역사서에 기록되어 전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초 이순지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 등 여러 문헌에 인용되어 있습니다. 중국 문헌에 나오는 절기는 주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으로 우리나라의 기후와 차이가 .. 2021. 12. 27. 1년의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소만 1년의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소만 소만은 입하와 망종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여덟 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60도이며 입하로 부터 15일이 지난 후로 5월 19일~23일 사이에 있는 날로 이른 모내기에 들어가기도 하고 보리 수확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 소만을 기점으로 햇볕이 강해지고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합니다. 소만의 유래 소만은 만물이 자라서 세상을 가득 채운다는 말에서 유래가 된것입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이 기재된 후 여러 역사서에 기록되어 전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초 이순지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 등 여러 문헌에 인용되어 있습니다. 중국 문헌에 나오는 절기는 주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으로 우.. 2021. 12. 27. 1년의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입하 1년의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입하 입하는 곡우와 소만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일곱 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45도이며 곡우로 부터 15일이 지난 후로 5월 4일~8일 사이에 있는 날로 농작물이 본격적으로 자라기 시작하고 보리가 익어 추수를 기다리는 시기이기도 하며 해충과 잡초가 늘어나 일손이 바빠지는 때 입니다. 입하의 유래 입하라는 말은 여름에 들어섰다는 말에서 유래가 된것입니다. 음력 4월은 초여름을 뜻하는 "초하"와"유하"라고 부르며 홰나무꽃이 핀다고 하여서 "괴하"라고도 합니다. 또한 보리가 익을 무렵이라는 뜻으로 "맥추"와 "맥량"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이 기재된 후 여러 역사서에 기록되어 전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초 이.. 2021. 12. 27. 이전 1 ··· 4 5 6 7 8 9 10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