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1년의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 망종

by 달리는 행복열차 2021. 12. 27.

1년의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 망종

 

 

 

망종은 소만와  하지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아홉 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75도이며 소만으로부터 15일이 지난 후로 6월 4일~8일 사이에 있는 날로 밭보리의 수확을 모두 끝내고 논에 늦은 모내기까지 하는 시기라 농사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가장 바쁜 시기입니다.

 

망종의 유래

망종은 논보리나 벼 등의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을 파종하는 시기라는 말에서 유래가 된것입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이 기재된 후 여러 역사서에 기록되어 전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초 이순지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 등 여러 문헌에 인용되어 있습니다.

 

중국 문헌에 나오는 절기는 주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으로 우리나라의 기후와 차이가 있습니다.

 

망종은 5일 단위로 3 후로 구분되는데 초후에는 사마귀가 들판에 나타나고 중후에는 때까치가 울기 시작하고 말후에는 지빠귀가 울기를 멈춘다고 합니다.

 

 

망종의 풍속

 

아이들이 보리 이삭 줍기와 보리 그스르기에 바빴는데 보리를 수확한 논에 벼를 심기 위해서는 아이들 손조차 빌릴 만큼 바쁜 시기였기 때문입니다.

 

망종에 밤이슬을 맞은 보리를 먹으면 1년 동안 허리가 아프지 않고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배탈이 없다고 믿었습니다.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 하여 망종의 시기로 풍년과 흉년을 점치기도 했습니다.

 

지역에 따라 경상남도, 부산 일대는 망종에 비가 오면 풍년이 된다고 여겼지만 전라남도, 충청남도, 제주도는 망종에 비가 오고 천둥이 치면 농사의 작황이 좋지 않고 불길하다고 여겼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