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1년의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입하

by 달리는 행복열차 2021. 12. 27.

1년의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입하


입하는 곡우와 소만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일곱 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45도이며 곡우로 부터 15일이 지난 후로 5월 4일~8일 사이에 있는 날로 농작물이 본격적으로 자라기 시작하고 보리가 익어 추수를 기다리는 시기이기도 하며 해충과 잡초가 늘어나 일손이 바빠지는 때 입니다.

입하의 유래

입하라는 말은 여름에 들어섰다는 말에서 유래가 된것입니다.
음력 4월은 초여름을 뜻하는 "초하"와"유하"라고 부르며 홰나무꽃이 핀다고 하여서 "괴하"라고도 합니다.
또한 보리가 익을 무렵이라는 뜻으로 "맥추"와 "맥량"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이 기재된 후 여러 역사서에 기록되어 전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초 이순지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 등 여러 문헌에 인용되어 있습니다.

중국 문헌에 나오는 절기는 주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으로 우리나라의 기후와 차이가 있습니다.

입하는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되는데 초후에는 청개구리가 짝을 찾아 울고 중후에는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말후에는 주먹참외의 싹이 튼다고 합니다.

입하의 풍속

우리 나라에서는 어린 쑥을 뜯어 쌀가루와 섞어서 쑥버무리를 해먹습니다.입하 전에 수확한 차를 "두물머리"라고 하는데 보통은 "우전차"라고 해 곡우 전에 딴 차를 상품으로 치지만 다성이라고 불리우던 "초의선사"는 입하 전후의 차가 더 상품이라 평하며 차를 즐겼다고 합니다.

여름처럼 비가 내리는 날이 종종 있어 농촌에서는 비를 가리기 위해 입하 시기에 짚이나 풀로 촘촘하게 도롱이를 만들어 우비처럼 만들어 걸쳤고 대오리나 갈대를 역어 삿갓을 만들어 쓰기도 했습니다.

댓글